리딩 크리스천 블로그 사용법입니다

2025년 2월 13일 목요일

복음이 울다 (3) - Day 3 : 영적 고통의 민낯을 마주하다

 

1. 요약

저자는 아침에 일어나 침낭 안에서 말씀을 묵상한다. 예수님께서 남편과 아들을 잃은 여인, 그리고 혈루증을 앓는 여인을 보면서 얼마나 큰 연민을 보여주셨는지를 깨닫는다.

산의 빈터에서 돌들을 원형으로 쌓아 높게 만든 장소를 발견했다. 그 무대의 주위로는 나무 기둥이 있었고 하얀 깃발이 휘날리고 있었다. 그곳은 천장(Sky Burial)을 하는 곳인데, 불교에서는 환생을 믿기에 죽은 사람의 몸은 아무런 가치가 없고 껍데기에 불과하므로 승려들을 동원해서 시체를 조각 내고 동물들이 먹게 한 이후에 뼈까지 부수는 것이다. 그래서 육체의 허무함과 고통의 영원한 순환에 대한 믿음을 표현하는 것이다. 저자는 이런 비참한 일이 벌어지는 것을 보면서, 인간의 영적인 필요에 대해서 깊이 생각했다.

저자는 다양한 종교를 공부하면서 모든 종교는 본질적으로 같다는 보편주의는 거짓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무신론과 기독교는 절대로 같지 않다. 이슬람교의 창시자인 마호메트의 제자들은 예수님이 선한 사람이며 십자가에서 죽은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것 역시 기독교의 핵심과 어긋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결국 한쪽은 거짓을 믿는 것이다.

마을의 주민 중 한 사람은 불교를 믿는다. 그 가족의 장남은 다섯 살 때에 이미 출가를 했고 절에 살고 있다. 그들은 불경을 읽을 줄도 모르지만 언젠가 스님 혹은 자신의 아들이 그것을 읽어줄 날을 기다린다. 그들은 내세에 좋은 삶을 살고 싶기 때문에, 아침에 일어나자 마자 은잔에 물을 채우고 초에 불을 붙인다.

저자는 이 부부에게 그 어떤 선택권도 없었다는 것에 가슴 아파 한다. 왜냐하면 이 사람들은 또 다른 믿음과 삶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사랑에 대해서 들어보지 못한 사람은 그 사랑을 믿을 수 없다는 것이다. 도대체 왜 이런 현실이 존재하는가를 저자는 고통스러워 하며 스스로에게 질문한다.

이번에는 강 가까이에서 강 위의 단 위에서 하얀 천에 싸인 시체를 태우는 모습을 보았다. 그것은 힌두교 의식이었는데, 그들은 그 강을 거룩하게 여겼기 때문에 지인이 죽으면 24시간 안에 이곳에서 화장시키고, 그 재가 강에 떨어질 때에 망자의 환생이 잘 이루어진다고 믿고 있었다.

저자는 그 장면을 보면서 지옥을 떠올린다. 지옥은 끔찍한 곳임을 기억하며 자신이 영적인 현실을 육체적인 현실로 보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렇게 화장 되는 수 많은 사람들 역시 천국에 가는 법에 대해서 한번도 들어본 적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저자는 마치 지옥을 들여다보는 느낌 속에서 그들의 운명의 무게에 짓눌렸다.

애런은 화장의 장면을 보여준 이후에 모든 이들은 성경을 믿어야 하며 영적 상황이 시급하기에 이 마을에 구원의 진리가 필요하다고 깨우쳐준다. 저자 역시 히말라야 사람들 뿐 아니라 모든 이들에게 죽음 너머의 소망이 가장 필요하며 죽음까지 다스리시는 분을 믿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는다. 저자는 오직 주님의 말씀을 믿겠다고, 그리고 끔찍한 그 지역에 주님의 자비를 보여주시기를, 그리고 복음을 전하는 일에 자신을 사용해 달라고 기도한다.

 

2. 책에서 한마디

제발 하나님, 제발 이곳에서 주님의 구원을 보여 주십시오. 세상의 가장 절박한 필요는 주님과 함께하는 영원한 삶이며 이 필요에 대한 답은 복음인 줄 압니다. , 하나님, 이 복음을 모든 사람에게 전하는 일에 제 삶을 온전히 사용하여 주십시오.”

 

3. 성경적 관점에서 보기

* 진정한 긍휼함을 가져야 한다는 측면에서

누가복음 7:13주께서 과부를 보시고 불쌍히 여기사 울지 말라 하시고 7:13 When the Lord saw her, his heart went out to her and he said, “Don’t cry.”

예수님께서는 그녀의 고통과 궁핍 때문에 행동하셨습니다. 여기에서 사용된 헬라어 단어 스클란크니조마이는 누가복음에서 비유에서 두번 더 나옵니다. 아버지는 방탕한 아들이 돌아왔을 때에 그를 불쌍히 여겼습니다. 그리고 사마리아인은 다친 사람을 불쌍히 여겼습니다.

John D. Barry et al., Faithlife Study Bible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12, 2016), Lk 7:13.

* 오직 복음 안에서 인간이 진정한 회복을 누린다는 측면에서

누가복음 8:48 예수께서 이르시되 딸아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으니 평안히 가라 하시더라 (개역개정) 48 Then he said to her, “Daughter, your faith has healed you. Go in peace.” (NIV)

이 여인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분노하실 것을 두려워했지만, 예수님께서는 그녀에게 부드러운 말로 말씀하셨습니다. 그녀는 고침을 받기 위해서 왔지만, 또한 그녀의 믿음 때문에 하나님과의 관계와 평화를 받았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녀를 치유한 것이 그분의 옷이 아니라, 그녀를 치유할 수 있는 유일한 분에게 다가간 그녀의 믿음 때문이었다고 설명하셨습니다. 그녀는 믿음을 가진 것 뿐 아니라 올바른 분에게 믿음을 두었습니다.

 

4. RCB 관점으

저자가 산 속에서 발견한 사실은, 복음을 들어보지 못한 사람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복음을 알지 못하고 잘못된 믿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허망한 삶을 살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 4명 중 1명은 종교가 없다. 그리고 종교가 있다고 말하는 사람 중에 대략 70퍼센트 정도가 기독교인데, 그 중에서 33퍼센트만이 개신교이다. 언뜻 이 통계를 살펴 보아도 미국 안에서도 제대로 기독교 신앙을 믿고 신앙 생활을 하는 사람의 비율은 사실상 매우 적은 편이다.

또 다른 조사에 따르면, 미국 안에서 자신을 무신론자라고 밝힌 성인은 2009년에 비해서 17퍼센트 증가한 것이다. 또한 미국의 청년층에서 기독교인의 비율이 49퍼센트인데, 이것은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한 세대에서 기독교인이 과반을 차지하지 못한 것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저자의 글을 통해 우리 자신을 돌아보는 것은, 우리는 과연 영적인 죽음으로 인해 비참한 삶을 살아가는 이들을 향한 진정한 긍휼이 있는가 라는 점이다. 만약에 우리가 그 사람들을 향한 긍휼의 마음을 갖지 못한다면, 우리는 전도를 주저하게 될 것이다. 또한 당장 보이는 가시적인 효과만을 계산하면서, 마치 전도는 교회의 우선 순위가 아니라 가장 마지막에 해야 하는 변두리 일 중에 하나인 것처럼 여길 것이다.

그러나 세계 최대 기독교 국가라 불리는 미국에서도 여전히 복음을 필요로 하는 사람은 너무나 많으며, 그들을 향하여 우리는 나아가야 한다. 물론 온라인 사역이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온라인은 일방적이다. 우리는 누군가를 직접 만나기 전까지는 그 사람의 어려움을 알 수 없다. 저자는 안타까운 삶을 살아가는 현실의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의 처지를 직접 보면서 복음의 절박함을 깨달았다. 그런 면에서 현대 교회는 너무나 편하게 복음을 전하는 것이 아닌가? 혹시라도 복음을 직접 전해야 하는 그 귀한 사명을, 온라인이라는 편리한 도구로 바꿔 버림으로써 사실상 전도를 포기해 버린 것은 아닌가?

The author discovered in the mountains that there are still people who have never heard the gospel. Furthermore, because they did not know the gospel and held incorrect beliefs, they were living meaningless lives.

According to a survey, one in four Americans has no religion. Among those who claim to have a religion, about 70 percent identify as Christians, but only 33 percent of them are Protestants. Even from a quick glance at these statistics, it is evident that the proportion of people in the U.S. who truly believe in and practice the Christian faith is quite low.

Another study found that the number of adults in the U.S. who identify as atheists has increased by 17 percent compared to 2009. Additionally, only 49 percent of young adults in the U.S. identify as Christians, marking the first time in American history that Christianity has not been the majority religion within a single generation.

In such circumstances, the author challenges us to examine ourselves: Do we truly have compassion for those who are living miserable lives due to spiritual death? If we lack such compassion, we will hesitate to evangelize. Moreover, we may focus only on immediate, visible results and treat evangelism as a low priority, rather than a fundamental mission of the church.

However, even in the United States, often called the world’s largest Christian nation, there are still countless people who need the gospel, and we must reach out to them. While online ministry is important, it is also one-sided. Until we meet someone in person, we cannot truly understand their struggles. The author realized the urgency of the gospel by meeting real people who were living in difficult circumstances and witnessing their hardships firsthand.

In this sense, is the modern church too comfortable in spreading the gospel? Have we, perhaps, abandoned the precious mission of direct evangelism by replacing it with the convenience of online tools, effectively giving up on evangelism altogether?

* 미국은 얼마나 종교적인가? 가장 큰 영적문제는 무엇인가?
https://rb.gy/s1at6x

* 미국 – 세속화되고 있는 미국인들 외
https://rb.gy/u134ts

 

5. 적용 * 

1)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과 대화해본 적이 있습니까? 그때 당신은 어떤 생각을 했습니까?

2) 가장 최근에 누군가에게 예수님을 전해본 경험이 있습니까?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예수님을 전할 수 있겠습니까? 

* '복음이 울다' 크리스천 북클럽 인도자용 자료모음
https://readingchristianbookclub.blogspot.com/2024/01/blog-post.html

2025년 2월 4일 화요일

크리스천을 위한 마음 코팅 (2) - 성장은 '시간'이 걸린다

  


1. 요약

성장하기 위해서는 진리와 은혜가 우리 안에 작용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시간이 반드시 필요하다. 인간이 타락한 이후로 하나님께서는 인간을 구속의 시간으로 내보내셨다. 그리고 그 시간 안에서 다시 거룩해진 그들이 영원의 시간 속으로 들어오게 하신다. 이 시간은 하나님께서 잘못을 고치시는 시간이며, 또한 임시로 악이 존재하기도 하는 곳이다.

하나님께서 회복의 방법으로 시간을 사용하시기 때문에, 한 사람의 회복은 반드시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적당한 때가 있는 것이다. 한 단계의 성숙 이후에 다음 단계의 성숙이 가능한 것이다. 지름길을 찾도록 사탄은 유혹하지만 하나님의 목표는 성실한 사랑의 관계를 만드시는 것이며, 진정한 변화는, 변화가 언제 일어났는지 모를 정도로 오랜 시간에 걸쳐 일어난다.

물론 마냥 시간을 보낸다고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시간에는 좋은 시간과 나쁜 시간이 있으며, 좋은 시간이란, 자신의 경험을 인식하고 우리의 어떤 측면을 체험하는 것이다. 만약 한 인간이 자라면서 발달 단계에서 꼭 경험해야 하는 것들을 제대로 누리지 못했다면 그는 나쁜 시간을 보낸 것이다. 그러므로 진정한 회복은, 잃어버린 시절을 다시 시간 속으로 가지고 들어오는 것이다. 그리하여 자신의 삶에 다시 한번 참여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한 사람을 불러내어 예수님과 그분의 교회를 경험하게 하신다. 그러므로 만약에 우리가 과거에 놓친 부분이 있다면 나를 사랑하고 나의 성장에 관심이 있는 이들에게 나를 열어 보이면 된다. 우리는 교회 안에서 얼마든지 우리가 놓친 부분을 채울 수 있다. 하나님은 우리의 과거를 달라지게 하실 수 있으며 우리 모두는 다시 성장할 수 있다. 또한 우리가 인내하면서 고통의 시간을 통과한다면 진정한 자아의 성장을 경험할 수 있다. 그리고 주님께서는 우리가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계시며 그렇기에 우리를 기꺼이 받아 주신다.  

 

2. 책에서 한마디

자람은 우리의 의지로 어쩔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오직 은혜와 진리와 시간이 균형 있게 작용했을 때만 가능하고, 바로 그때 하나님께서 자라게 하시는 것이다

 

3. 성경적 관점에서 보기

28:20 충성된 자는 복이 많아도 속히 부하고자 하는 자는 형벌을 면하지 못하리라 28:20 A faithful person will be richly blessed, but one eager to get rich will not go unpunished.

이 말씀은 부 자체를 비난하는 것이 아닙니다. 충실한 사람과 대조되는 평행 구조는 아마도 이 부가 불공정하게 얻은 것임을 암시합니다. 또한 부를 추구하는 사람이 개인의 영광을 위해 그렇게 할 가능성도 나타냅니다. 다른 잠언 구절들은 지혜롭게 사는 사람이 부유해질 것이라고 말씀하시며, 또한 열심히 일하는 것이 부를 가져다 줄 것임을 보여주십니다.

John D. Barry기타, Faithlife Study Bible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12, 2016), 28:20.

 

4. RCB 관점으

현대 시대는 매우 빠르게 변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성도의 성숙과 성장 역시 빠르게 일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면에서 저자의 지적은 정확하다. 은혜와 진리가 우리 안에서 함께 조화롭게 움직인다 하더라도, 실제로 우리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반드시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저자의 설명에서 통찰력 있고 또 목회적으로 중요한 것은, 하나님께서는 구속의 시간으로 죄인들을 보내셨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하나님 나라의 완성과 결국에는 회복될 인간에 대해서 이야기하지만, 그러나 상담의 전문가 답게 매우 따뜻한 표현으로 성도의 삶의 의미와 목표를 새롭게 조망해 낸다.

또한 저자가 주장하는 내용 중에 하나님께서 과거를 회복시키실 수 있다는 것은, 어떤 면에서 충격적인 표현이다. 왜냐하면 현재의 시점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 과거는 이미 지나간 것이고 분명히 잃어버린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자는 하나님께서 잃어버린 과거를 현재로 가져오시고 다시 거기에서 부터 교회를 통해서 회복시키실 수 있음을 역설하면서, 절망에 빠진 모든 이들에게 가장 담대한 복음을 선포한다. 그것은 나에게도 마찬가지이며 이것은 인간의 회복이라는 관점에서 복음을 새롭게 조명하는 너무나 기쁜 소식이다.

저자는 시간에 좋은 시간과 나쁜 시간이 있음을 구별하면서 자신의 인생을 좋은 시간으로 채울 것을 성도들에게 따뜻하게 권면한다. 저자의 설명을 전체적으로 이해하자면, 좋은 시간이란 그 시간 안에서 자신을 제대로 인식하고 체험하는 것이다. 이것은 다른 용어로는 자기 성찰, 자기 객관화, 몰입 등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님의 확고한 회복의 계획 가운데 자신의 시간을 좋은 것으로 채우라는 것은 참으로 목회적인 좋은 조언이다.

때론 나 자신에, 그리고 타인을 향해서 충분한 시간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너무 많다. 이미 세상은 바른 진리의 이야기, 감동적인 은혜의 이야기가 가득 차 있다. 그러므로 정말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시간을 주는 것이다. 생각보다 훨씬 더 여유를 가지는 것이다. 하나님 역시 그렇게 우리를 기다고 계심을 늘 기억하는 것이다. 그리고 누군가가 그 시간을 좋은 시간으로 보낼 수 있도록 격려하고 살피고 섬기는 것이다. 바로 그 목적을 위해서 이 북클럽이야 말로 가장 적합한 장소가 아닐까?

Since the modern era is changing so rapidly, we unconsciously assume that the maturity and growth of believers also happen quickly. In this regard, the author’s insight is precise. Even if grace and truth move harmoniously within us, the actual transformation within us necessarily requires a long time.

What is insightful and pastorally significant in the author's explanation is the point that God has placed sinners within the timeline of redemption. While it is common to discuss the completion of God's kingdom and the eventual restoration of humanity, the author, as a counseling expert, offers a warm and refreshing perspective on the meaning and purpose of a believer's life.

One particularly striking claim made by the author is that God can restore the past. From our present standpoint, the past is something that has already passed and is definitively lost. However, the author powerfully emphasizes that God can bring back the lost past into the present and restore it through the church. By doing so, the author boldly proclaims the most courageous gospel to all who are in despair. This message applies to me as well, and it is truly joyful news that reinterprets the gospel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estoration.

The author distinguishes between good times and bad times and warmly encourages believers to fill their lives with good times. To fully understand the author's explanation, good times are those in which one properly recognizes and experiences oneself. This can also be described in other terms such as self-reflection, self-objectification, or immersion. Advising believers to fill their time with good things within God's unwavering plan for restoration is a profoundly pastoral and valuable recommendation.

There are often too many instances where we fail to give enough time to ourselves and others. The world is already full of stories of truth and touching testimonies of grace. Therefore, what we truly need is to give time—to allow ourselves much more room than we think. We must always remember that God, too, is waiting for us in this way. Moreover, we should encourage, watch over, and serve those who are striving to spend their time meaningfully. Wouldn't this book club be the most fitting place for that very purpose?

 

5. 적용

1) 위의 내용에서 가장 마음에 와 닿는 것은 무엇입니까?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2) 당신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변화를 기다려야 하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그리고 어떻게 구체적으로 그 사람의 성장을 더 잘 도울 수 있겠습니까?

2025년 1월 7일 화요일

"크리스천을 위한 마음 코칭" 크리스천 북클럽 인도자용 자료모음

 


* 크리스천을 위한 마음 코칭 (1) - '은혜'와 '진리'의 하나님을 바로 알자
https://readingchristianbookclub.blogspot.com/2025/01/1.html

* 크리스천을 위한 마음 코팅 (2) - 성장은 '시간'이 걸린다
https://readingchristianbookclub.blogspot.com/2025/02/2.html

크리스천을 위한 마음 코칭 (1) - '은혜'와 '진리'의 하나님을 바로 알자

 


1. 요약

우리의 문제는 심리적인 것과 영적인 것으로 나누어서는 안된다. 모든 문제는 삶 속에서 하나님의 형상을 닮아 가지 못하는 데서 비롯된다. 하나님의 성품을 가꾸기 위해서는 네 가지 영역의 기본 기능들이 제대로 수행되어야 하는데, 다른 사람과의 유대감 형성, 다른 사람과의 분리, 좋은 것과 나쁜 것의 균형 있는 분별, 그리고 성인으로서의 책임감이다. 이 책은 이 네 가지의 발달 과제들을 설명하는 책이다.

이러한 성장 과업을 착수하기 전에, 하나님의 두 성품을 알아야 한다. 여호와 하나님은,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신 하나님이시다. 은혜는 하나님의 성품에서 관계적인 면을 보여주는 반면, 진리는 구조적인 측면을 상징하는 것이다. 진리는 우리의 마음과 영혼이 어떤 모양을 취하게 될 것인지를 말해 준다.

에덴 동산에서 아담과 하와가 죄를 범한 이후에 은혜가 사라졌고, 하나님께서는 은혜를 빼고 진리만 주셨다. 율법은 은혜 없는 진리이며, 이것은 죄를 더 짓도록 조장하고 죽음에 이르게 하며, 저주 아래에 놓이게 하고 그리스도에게서 끊어지게 한다. 율법 아래에서는 누구도 성장할 수 없는 것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조건적인 관계로 제한하기 때문이다. 은혜 없는 진리 가운데 지내다 보면,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에 둘러싸이는 것이며 자신의 있는 모습 그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삶은 너무나 고달프다.

반면에 진리 없는 은혜 역시 삶을 성공적으로 이끌지 못한다. 사랑은 넘치지만 삶에 목적이 없고 방종하게 되는 것이다. 통제와 절제와 훈련과 진리가 없다면 삶은 엉망진창이 된다. 그러나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고 책임을 지면서 인생은 훨씬 즐거워진다.

은혜와 진리가 영적 성장에 모두 중요하다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깨달을 수 있다. 은혜와 진리가 함께 할 때에 진정한 나의 모습이 될 수 있다. 용납과 새로운 방향과 지침이 함께 연합할 때에 진정한 치유가 일어나는 것이다.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으로 진정한 자아의 모습을 가지고 들어가면 하나님이 원래 의도하셨던 모습으로 성장하기 시작한다.

진정한 자아를 감추면 거짓 자아가 드러난다, 그리고 그것은 다른 사람에게 보이기 위한 전시용에 불과한 것이다. 은혜가 우리의 진정한 자아가 어떠 하든지 정죄함이 없다는 것을 알려줄 때에, 죄책감의 문제가 해결되고 치유를 경험한다.  

 

2. 책에서 한마디

은혜 없는 진리는 우리를 파멸시킨다. 율법 아래서는 누구도 성장할 수 없다. 왜냐하면 율법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철저하게 조건적인 관계로 제한하기 때문이다. “나는 네가 옳은 일을 할 때만 사랑해 줄 것이다.” 진리를 은혜나 관계보다 더 우선시하면 죄책감과 염려, 분노 및 다른 여러 가지 정서적 고통을 겪게 된다.

 

3. 성경적 관점에서 보기

- 그리스도께서 율법을 성취하셨음을 이해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

1:17 율법은 모세로 말미암아 주어진 것이요 은혜와 진리는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온 것이라 1:17 For the law was given through Moses; grace and truth came through Jesus Christ.

Because law and God’s unfailing love seem to contradict, what action should people take? Both law and love express God’s nature. Moses emphasized God’s law and justice, while Jesus Christ came to highlight God’s mercy, love, and forgiveness. Moses could only be the giver of the law, while Christ came to fulfill perfectly the law (Matthew 5:17). 율법과 하나님의 변함없는 사랑이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 것일까요? 율법과 사랑은 하나님의 본성을 표현합니다. 모세는 하나님의 율법과 정의를 강조했지만,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자비, 사랑, 용서를 강조하기 위해 오셨습니다. 모세는 율법을 주는 사람일 뿐이었지만, 그리스도는 율법을 완벽하게 성취하기 위해 오셨습니다. ( 5:17)

Bruce Barton기타, Life Application New Testament Commentary (Wheaton, IL: Tyndale, 2001), 375.

 

- 예수님께서 율법을 성취하심으로 구원을 이루신다는 측면에서 -

5:17 내가 율법이나 선지자를 폐하러 줄로 생각하지 말라 폐하러 것이 아니요 완전하게 하려 함이라 (개역개정) 17 “Do not think that I have come to abolish the Law or the Prophets; I have not come to abolish them but to fulfill them. (NIV)

5:17, 18 Do not think that I came to destroy: Jesus rejected the Pharisees’ charge that He was nullifying the law. The law was both temporary (see Gal. 3:19; Eph. 2:15; Heb. 7:12) and eternal (see 5:18; Rom. 3:31; 8:4). The word fulfill means “to fill out, expand, or complete.” It  does not mean to bring to an end. Jesus fulfills the law in several ways: (1) He obeyed it perfectly and taught its correct meaning (vv. 19, 20); (2) He will one day fulfill all of the Old Testament types and prophecies; and (3) He provides a way of salvation that meets all the requirements of the law (Rom. 3:21, 31). 예수님께서는 그분이 율법을 폐하려 한다는 바리새인들의 비난을 거부하셨습니다. 율법은 일시적이면서도 영원한 것입니다. 완전하게 하려 한다는 것은 채우다, 확장하다, 완성하다의 뜻입니다. 그것은 끝을 맺는다는 뜻이 아닙니다. 예수님께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율법을 성취하십니다. 그분은 율법을 완벽하게 순종하셨고 정확한 의미를 가르치셨습니다. 그분은 언젠가 구약의 모든 예표와 예언을 성취하실 것입니다. 그분은 율법의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구원의 길을 제공하십니다. 

Earl D. Radmacher, Ronald Barclay Allen/H. Wayne House, The Nelson Study Bible: New King James Version (Nashville: T. Nelson Publishers, 1997), 5:17–18.

 

4. RCB 관점으

저자는 심리학자로서 크리스천들이 실제로 삶에 겪는 어려움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다. 어떤 이들은 은혜가 없이 진리만을 강요받으며 숨막힐 듯한 정죄 속에서 살아간다. 반면에 또 어떤 이들은 은혜만 누리다가 무절제하고 방종하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사람들이 여호와 하나님을 이야기하지만, 실제로는 진리의 하나님 혹은 은혜의 하나님을 구분해서 받아들이고 있다며 탁월하게 분석한다.

그리고 그 대안은 결국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진리와 은혜가 하나가 된다는 것으로 논리를 이끌어간다. 은혜가 없기 때문에 망가진 자아를 인정하지 않고 감추기만 하는 사람들의 현실을 드러내며 그러한 상황에서는 영적으로 자랄 수 없다는 것을 잘 드러낸다. 그러나 그리스도 안에서 어떻게 진리가 드러나고 그 사람이 성장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거의 내용이 드러나지 않는 아쉬움이 있다.

조금 의아한 것은, 구약 성경을 바라보는 관점이다. 과연 구약 안에서 하나님의 복음이 드러나지 않았는가? 큰 그림만 볼 때에는 구약은 율법, 신약은 은혜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상 아담과 하와가 경험한 것은 은혜였다. 하나님께서는 범죄한 그들을 찾아가시며 예수 그리스도를 예언하시며 그들을 구원할 구원자가 오실 것을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모세를 통해서 율법을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하나님께서는 그 전에 아브라함을 통해서 무조건적인 복을 약속하시며, 그의 후손을 통해서 온 세상이 복을 얻게 될 것임을 또한 알려주신다. , 구약 안에서도 복음과 율법이 같이 간다는 것이다.

저자는 심리학자로서 크리스천들의 현실적인 고통을 잘 이해하고 있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은혜와 진리가 온전히 만난다는 것을 주장한다. 그러나 아쉬운 것은, 그것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율법의 모든 것을 성취하셨다. 즉 그분은 마지막 아담으로서 율법을 완전히 순종하시며 그것을 완성하셨다. 죄인은 그리스도 안에서 오직 믿음으로 구원 받는다. , 그리스도가 이루신 진리, 그분의 의로움을 우리는 믿음으로 받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 어떤 정죄도 받지 않으며 그리스도 안에서 언제나 하나님 앞에 용납 받는다.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어떤 죄책감도 느낄 필요가 없으며 우리의 망가진 모습 그대로 주님 앞에 나아간다.

그러나 우리는 동시에 하나님 앞에서 진리를 붙들고 살아간다. 하나님의 율법은 우리에게 최고의 목표와 최선의 노력을 요구하신다. 우리의 생명까지라도 거기에 걸어야 한다고 말씀하신다. 그것이 바로 십자가를 지고 따르라는 말씀이다. 우리가 이렇게 진중하고 고독하고 심오하게 진리를 추구하는데 있어서 두려움이 없는 것은, 우리는 이미 용납 받은 사람이며 동시에 우리의 실패조차 승리로 만들어 내시는 여호와 하나님을 믿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루이스는, 우리가 단 한순간도 은혜가 없으면 살지 못하는 사람인 것처럼, 그리고 동시에 기독교 역사상 가장 위대한 영웅이 되고자 하는 사람으로 살아가라고 말한다. 이것이야 말로 은혜와 진리 속에서, 그리스도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의 참된 태도가 아닌가?

The author, as a psychologist, deeply understands the real-life struggles Christians face. Some are suffocated by the burden of truth without grace, living under a crushing sense of condemnation. On the other hand, others indulge solely in grace, leading to an unrestrained and careless lifestyle. The author insightfully analyzes how people speak of Yahweh God but, in practice, often accept Him either as the God of truth or the God of grace, dividing His nature.

The author’s argument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ruth and grace are united in Jesus Christ. They expose the reality of people who, lacking grace, fail to acknowledge their broken selves and instead hide them, showing how such a condition prevents spiritual growth. However, the book lacks detailed content on how truth is revealed and how individuals can grow in Christ.

One curious point is the perspective on the Old Testament. Was the gospel of God truly absent in the Old Testament? From a broad perspective, one might understand the Old Testament as law and the New Testament as grace. However, Adam and Eve’s experience was of grace. God sought them after their sin, prophesied about Jesus Christ, and announced the coming Savior who would redeem them. While it is true that the law was given through Moses, before that, God had promised unconditional blessings through Abraham, declaring that all nations would be blessed through his descendants. In other words, the Old Testament also encompasses both the gospel and the law.

As a psychologist, the author has a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suffering of Christians and asserts that grace and truth meet perfectly in Jesus Christ. However, the disappointment lies in the lack of specific explanations on how this is realized. 

Jesus Christ fulfilled every aspect of the law. As the last Adam, He perfectly obeyed and completed the law. Sinners are saved in Christ by faith alone. That is, we receive the truth He accomplished and His righteousness through faith. Therefore, we are free from any condemnation and are always accepted before God in Christ. In Christ, we need not feel guilt but come before the Lord as we are, with all our brokenness.

At the same time, we live clinging to truth before God. God’s law demands our utmost goals and best efforts, even to the point of laying down our lives. This is precisely what it means to take up the cross and follow Him. The reason we can pursue truth with such solemnity, solitude, and depth without fear is that we are already accepted, and we believe in Yahweh God, who transforms even our failures into victory.

Thus, Lewis encourages us to live as if we cannot survive a single moment without grace and, at the same time, as those who aspire to be the greatest heroes in Christian history. Isn’t this the true attitude of someone living in grace and truth, in Christ?

 

* 추가적으로 읽어볼 자료

- 은혜와 진리 안에 거한다는 것의 가장 정제된 표현이라는 측면에서

이러한 진리의 양면을 달리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한편으로 우리는 어떤 도움 없이 자기 노력만으로는 단 24시간도 ‘바른’ 사람으로 살 수 없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하나님이 도와 주시지 않으면 단 한 명도 엄청난 죄에서 벗어날 길이 없습니다.

또한 우리는 다른 한편으로, 하나님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성인들의 거룩함과 영웅적 면모 이상의 것을 우리 각 사람 안에 만들어 내고야 말겠다고 작정하셨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이 일은 이생에서 완성되지 못할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가 죽기 전에 가능한 한 그 목적지 가까이 데려가고자 하십니다.

순전한 기독교 | C. S. 루이스, 이종태, 장경철 저

 

5. 적용

1) 위의 내용에서 가장 마음에 와 닿는 것은 무엇입니까?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2) 당신은 은혜 혹은 진리 중에 어느 쪽에 치우친 사람입니까? 왜 그렇게 생각합니까?

* "크리스천을 위한 마음 코칭" 크리스천 북클럽 인도자용 자료모음
https://readingchristianbookclub.blogspot.com/2025/01/blog-post.html

복음이 울다 (3) - Day 3 : 영적 고통의 민낯을 마주하다

  1. 요약 저자는 아침에 일어나 침낭 안에서 말씀을 묵상한다 . 예수님께서 남편과 아들을 잃은 여인 , 그리고 혈루증을 앓는 여인을 보면서 얼마나 큰 연민을 보여주셨는지를 깨닫는다 . 산의 빈터에서 돌들을 원형으로 쌓아 높게 만든 장소를 발견했다 ...

리딩 크리스천 독서 묵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