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딩 크리스천 블로그 사용법입니다

2024년 6월 5일 수요일

Teens Life Choices (9) Commitment (헌신)

 


1. 책에서 한마디

Since the two girls have such contrasting personalities, nobody can quite understand why they’re still friends. But they are. They’re best friends.

Tyndale. NLT Teen Life Application Study Bible (p. 6352). Tyndale House Publishers, Inc.. Kindle Edition.

 

2. 성경적 관점에서 보기

룻기 1:16 룻이 이르되 내게 어머니를 떠나며 어머니를 따르지 말고 돌아가라 강권하지 마옵소서 어머니께서 가시는 곳에 나도 가고 어머니께서 머무시는 곳에서 나도 머물겠나이다 어머니의 백성이 나의 백성이 되고 어머니의 하나님이 나의 하나님이 되시리니 1:16 But Ruth replied, "Don't urge me to leave you or to turn back from you. Where you go I will go, and where you stay I will stay. Your people will be my people and your God my God. 1:17 어머니께서 죽으시는 곳에서 나도 죽어 거기 묻힐 것이라 만일 내가 죽는 일 외에 어머니를 떠나면 여호와께서 내게 벌을 내리시고 더 내리시기를 원하나이다 하는지라 (개역개정) 1:17 Where you die I will die, and there I will be buried. May the LORD deal with me, be it ever so severely, if anything but death separates you and me." (NIV)

룻의 약속은 수세기에 결쳐서 사람들이 인용하였습니다. 이 말은 결혼식에서 신부가 남편에게 헌신을 서약하는 경우에 자주 사용되지만, 본문에서 룻은 나오미에 대한 애정과 헌신을 표현한 것입니다. 나오미에게 자신을 헌신한 룻의 결정은 궁극적으로 나오미의 하나님, 즉 이스라엘의 야훼 하나님에 대한 그녀의 새로운 믿음에 기초한 것이었습니다. 그녀는 참된 하나님에 대한 헌신 포기하기보다는, 차라리 평생 동안 과부 생활을 해야 하는 불확실성을 기꺼이 받아들였습니다.

Katie Mccoy, ed., “Ruth,” in The Study Bible for Women, Holman Christian Standard Bible (Nashville, TN: Holman Bible Publishers, 2014), Ru 1:16–17.

 

3. RCB 관점으

AyaKelsey는 여러 면에서 많이 다르지만 서로를 향한 헌신으로 우정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Choices의 글 안에서는 이들이 어떻게 서로를 향해 그렇게 헌신적인지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있다. 다만 서로를 아끼고 있고, 자신의 이익보다 상대방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관계를 유지하는 헌신을 어떻게 성경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까? 아티클의 저자는 룻기의 말씀을 연결한다. 사실상 삶이 완전히 망가져버린 나오미에게 룻은 헌신한다. 이것은 겉으로 보기에는 단순히 시어머니를 향한 사랑으로 보이지만, 오히려 나오미를 넘어서는 궁극적인 헌신의 대상이 룻에게 있었다는 것을 성경은 분명히 말씀하신다.

서로를 향한 깊은 헌신을 바탕으로 한 인간 관계는, 어쩌면 모든 인간이 꿈꾸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 관계를 누리고 싶어서 서로 비슷한 취미와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열심으로 모이는 것이다. 그러나 그런 모임 안에서는 가장 높은 수준의 헌신과 견고한 우정을 경험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인간의 기호라는 것은 언제나 바뀌기 마련이고, 또한 모임에 참여하는 동기 자체가 자기 자신의 유익을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하나님 안에서의 신앙적인 헌신은 견고한 관계를 만들어 낸다. 왜냐하면, 서로의 관심과 취향이 다르다 하더라도, 하나님의 뜻이라는 영원한 가치를 가진 틀이 그들을 하나로 묶어 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신의 이기적인 욕구를 뛰어 넘어서 인간이 추구할 수 있는 가장 숭고한 목적인 하나님의 뜻을 함께 추구하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성경적 헌신의 개념을 우리가 속한 교회 공동체에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시대는 교회에서 조차 성향이 비슷한 사람을 모아서 그룹으로 묶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한다. 물론 같은 취미와 성향 혹은 나이대의 사람들이 모이면 그것은 모임의 큰 동력이 될 것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치 그것이 교회 공동체 안에서 서로를 향한 헌신의 유일한 원동력으로 여긴다면 큰 착각이 아닐까? 가장 건강한 교회는, 하나님을 위하여 하나님의 뜻 안에서 오직 그분을 섬기기 위하여 모여야 한다. 과연 우리가 속한 공동체의 현재 모습은 어떠한가? 그 공동체는 제대로 된 성경적 헌신을 강조하고 격려하며 이끌어내고 있는가?

 

5. 적용

1) 당신은 어떤 종류의 공동체에 속해 있습니까? 당신이 그곳에서 헌신하는 동기는 무엇입니까?

2) 당신의 우정 혹은 관계가 더욱 헌신적으로 바뀌기 위해서 무엇을 시도해 볼 수 있겠습니까? 

* Teen Life Choices 모음
https://readingchristianbookclub.blogspot.com/2023/12/teens-life-choices.html

댓글 없음:

댓글 쓰기

Teens Life Choices (10) Complacency (자기 만족)

  1.  책에서 한마 디 “Who do you think you are? You act like you’re so spiritual. What’s wrong with having fun?” Tyndale. NLT Teen Life Applicatio...

리딩 크리스천 독서 묵상